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트라이
- Next
- 게임 서버 아키텍처
- string
- html5
- vector insert
- router
- localstorage
- ERD
- branch
- JavaScript
- Prisma
- HTTP
- 그리디
- 백준 1918번
- map
- DP
- MongoDB
- trie
- PROJECT
- 이분 탐색
- insomnia
- MySQL
- Express.js
- 그래프 탐색
- pm2
- Github
- Keys
- ccw 알고리즘
- 자바스크립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수 정렬하기 (1)
dh_0e

2022년 UCPC 예선 J번 문제로, 문제를 처음 읽고 나서 STL sort에 cmp 함수 만들어서 제약을 걸어주면 되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에 쉽게 풀릴 것 같았지만 제약이 생각대로 걸리지 않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했다. 해결 방법 (에드혹) 원래 배열을 정렬이 끝난 배열과 비교하는 과정에서 A(정렬 전 배열의 i번째에 있던 값)와 B(정렬 후 배열의 i번째에 있는 값)가 있다고 가정하자.A = B라면 위치가 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게 없이 넘어가면 된다.A ≠ B라면 B의 정렬 전 위치에 있던 수가 C라고 하자. C = A라면 A와 B의 위치가 바뀐 것이므로 A x B가 제곱수인지 확인하면 된다. 하지만 C가 A가 아니라면?A, B, C 모두가 다른 것은 A ↔ B, B ↔ C 이런 ..
알고리즘/Baekjoon
2024. 7. 30.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