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nsomnia
- Express.js
- MongoDB
- pm2
- string
- localstorage
- 그리디
- MySQL
- map
- ERD
- 백준 28303번
- HTTP
- ucpc 2023 예선 i번
- Github
- branch
- PROJECT
- Next
- Prisma
- koi 2002 중등부 1번
- 백준 2623번
- 게임 서버 아키텍처
- 백준 28298번
- router
- html5
- JavaScript
- 더 흔한 색칠 타일 문제
- 자바스크립트
- ucpc 2024 예선 e번
- ccw 알고리즘
- ucpc 2023 예선 d번
- Today
- Total
dh_0e
[Node.js] 강의 내용 정리(1) (게임 개발) 본문
게임 개발의 큰 틀
1. 기획 단계
2. 개발 단계
3. 라이브
기획 단계
PD(Project Director): 한 팀의 헤드 역할을 하며 게임 전반의 방향성을 결정
TD(Technical Director): 서버팀, 클라이언트팀 등 모든 기술팀의 헤드 역할
전체적인 기술의 흐름 및 방향성을 결정
TL(Technical Leader) 등 회사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른 경우가 있음
AD(Art Director): 아트팀의 모든 방향성을 결정
3D 그래픽, 2D 컨셉 등 가능성 여부를 결정
PD에 의해서 게임 전반적인 내용이 정리됨 - 시나리오, 장르, 방향성을 정해서 문서화시킴
AD가 그 문서를 기반으로 컨셉 아트를 결정
TD가 이를 통해 초기 게임을 만듬 (클라이언트 위주의 프로토타입 게임)
초기 기획이 다른 부서나 테스터들에게 좋은 반응을 보이면 본격적인 개발 단계로 넘어감
개발 단계
장르에 따라서 팀의 규모가 정해짐
팀을 부르는 호칭은 팀, 셀, 스튜디오 등 회사마다 다양함
서버팀이 하는 일
인프라 구성
- 대규모 트래픽처리를 위한 분산 서버 구성
- 업데이트 방식 설계
- 서버 관리, 모니터링 툴 적용
- NAS, 내부망, 클라우드 세팅
팀원 모집
- 인프라, 클라우드, DBA, 웹, 게임 서버
서버 로직 개발
- 오픈 컨텐츠 개발 대응
- 더미테스트: 충돌 시험용 더미가 테스트를 함, 부하테스트
- 내, 외부 QA 대응
사실 서버팀은 이 단계에서 '그렇게까지' 바쁘지 않다.
라이브
오픈 이후 처음 몇 달간 이슈대응으로 고생함
트래픽의 경우 점진적으로 감소하므로 일반적으로 크게 대응할 일이 없어짐(업데이트의 경우에만 바짝 긴장)
게임 컨텐츠 개발의 연속 x100
- 미션 추가, 전투 형태 변경, PVP 등
각종 이벤트 대응
- 외부 투자사, 콜라보를 통해 진행하는 이벤트 로직 개발 및 기존 코드에 적용
게임 서버가 주로 하는 일은?
검증 (Verification)
개발자의 관점에서 무언가 처리를 하는 것
ex) 사용자가 포션을 먹을 때, 서버상에 포션 아이템이 존재하는가? 실제로 서버상의 HP가 증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버그, 이슈로 간주하고 수정
검정 (Validation)
사용자의 관점에서 무언가 처리를 하는 것
ex) 사용자가 포션을 먹을 때, 실제 플레이어들이 접속하는 환경에서 포션 아이템이 HP를 회복시키는지 확인
서비스 릴리즈 날짜가 정해졌다면 사무실 불은 끄지 마라.
'내일배움캠프 > Node.js[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강의 내용 정리(4) (서버 로직 개발) + 개인 과제 (0) | 2024.06.14 |
---|---|
[Node.js] 강의 내용 정리(3) (게임 기획의 순서) (0) | 2024.06.13 |
[Node.js] 강의 내용 정리(2) (HTTP, TCP, 웹소켓)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