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in Lock
- 분리 집합
- ccw 알고리즘
-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 비트마스킹
- JavaScript
- Keys
- 최소 공통 조상
- MongoDB
- 그래프 탐색
- PROJECT
- 비트필드를 이용한 dp
- 그리디
- Express.js
- 2-SAT
- trie
- Binary Lifting
- localstorage
- 이분 탐색
- Github
- LCA
- MST
- DP
- map
- Prisma
- 자바스크립트
- SCC
- 트라이
- 게임 서버 아키텍처
- 강한 연결 요소
- Today
- Total
목록Operating System (2)
dh_0e

컴퓨터의 기원compute + er2차 세계대전 당시 OS가 없던 시절 전쟁과 함께 개발됨암호 해석미사일 탄도 분석물리 계산 1950년대 초반현재의 컴퓨터에 비해 매우 원시적임프로그램인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1bit 단위로 컴퓨터에 입력되어 실행진공관 기반의 거대한 크기, 많은 열 방출1950년대 중반모든 프로그램이 기계어로 쓰임플러그 보드(Plug-Board: 빵판)에 와이어링(Wiring)을 통해 컴퓨터의 기능을 제어프로그래밍 언어 및 운영체제라는 존재가 없음영구적인 저장장치가 없어 매번 프로그램을 다시 입력함1960년대 초반펀치카드가 등장하며 프로그래밍한 카드로 컴퓨터를 구동시킴빵판의 대체재가 됨 Mainframe - 일괄처리(Batch)Business Machinery로써 쓰이면서 가치가 ..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일어나는 일프로세서(CPU)가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fetch함fetch: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는(읽어오는) 과정을 의미해당 명령어가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decode(해석)함명령어에 적혀있는 Opcode 및 Operands(피연산자)를 기반으로 execute(실행)함Opcode: 연산자 / 명령어가 실행할 연산의 종류ex) 데이터 전송(MOV, POP, ..), 산술 연산(ADD, SUB, ..), 논리/비트 연산(AND, OR, ...), 제어 흐름(JMP, JE, ..), etc.프로세서는 다음 명령어 (PC+4)로 이동하여 동일한 수행 반복다음 명령어가 PC+4인 이유: MIPS 아키텍처에서 사용하는 기준인 고정 길이 명령어 구조에선 한 개의 명령어는..